top of page

<초상화 좀> 2015. 종이에 흑연과 자막 프로젝션, 각각 42x30 cm

 

 사람들에게 내 전공이 미술이라고 소개를 하면 가끔 그들은 초상화를 그려달라고 한다. 특히 사회적 지위를 이용해 그것을 강요하는 이들의 요구는 거절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나는 그 내키지 않는 일을 해야만 할 바엔, 그걸로 내 작품을 만들어보자는 생각을 했다.
시간이 흐른 뒤 나는 내가 초상화를 그려줬어야만 했던 사람들의 얼굴을 떠올린다. 그리고 몽타주를 그리듯이 그들의 얼굴을 그렸었던 기억을 더듬어 다시 그들의 초상화를 만들어 낸다. 그리고 그들이 내게 그림을 부탁할 때 했던 말들을 자막으로 프로잭션했다. 각각의 말들이 깜빡거리면서 산만한 광경을 만들지만 "초상화 좀"이라는 문구에서 그 대사들이 겹쳐지면서 순간 그림은 정돈되고 시각적으로 균형감을 준다. 
실제로 그 말을 들었을 때 느꼈던 불편한 감정이 이 작품에서는 반대의 효과를 보여주는데, 그것은 역설적으로 그 당시의 상황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Portrait Please, 2015. Subtitle and Graphite on Paper, 42x30 cm (Each)

 Sometimes people around me ask me to drawing their own portrait, when I introduce myself as studying art. It was hard to refuse them because of my social status in South Korea. So I decided to keep doing that, while try to make that experience my career. 
In the result of that, I recalled the memories about the moment of drawing someone's face that I didn't want to do and drew their face depending on only memories like police draws an identikit. After that, I projected the subtitle on the portraits which including what the said to me when they took their portrait from me. I synchronise each statements on particular words "초상화 좀(Portrait Please)" to explain why I drew their faces in same way to spectators. 
Here happens an ironic. that time of feeling frustrated and annoyed for me changes into stable and pleasant moment for spectators. 
 

bottom of page